저장하지않은 엑셀파일 복구방법

 

저장하지않은 엑셀파일 복구방법

 

우리가 자주는 아니지만 엑셀 작업을 하다가 저장을 하지 않고 엑셀을 종료하거나 손상된 엑셀 파일이 발생할수도 있으며 정전이나 다른 이유로 컴퓨터의 전원이 꺼질 경우가 가끔 발생을 합니다. 엑셀 2010 에서는 자동저장기능을 사용하여 파일을 손쉽게 복구할수 있으며 손상된 파일은 추출기능으로 데이터만이라도 복구할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오늘은 작업중 저장하지 않은 엑셀의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파일 복구

 

복구를 하기 위해선 먼저 엑셀의 자동저장 기능이 활성화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제일 먼저 자동저장 활성화를 확인해보겠습니다.

 

[파일] - 옵션을 선택합니다.

 

 

엑셀 옵션에서 [저장] 을 클릭하면 우측에 이미지처럼 자동복구저장 설정이 보이실 겁니다.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은 10분으로 되어 있군요. 이간격을 줄이면 더 자주 자동저장을 합니다.

[저장하지 않고 닫는 경우 마지막으로 자동 저장된 버전을 유지합니다.]는 반드시 체크하셔야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팁 하나 추가!!
자동저장 간격이 10분으로 되어 있으므로 수정한 다음 10분이 지나야 수정된 내용이 저장이 됩니다.
지금 바로 수정하고 저장안하고 닫을 경우 수정된 파일을 불러올수가 없다는 말입니다.
캡쳐를 하기위해서 일부러 수정하고 해봤는데 저장간격을 1분으로 줄이고 하니까 금방 확인할수 있더군요.

그럼 한번 해볼께요.. 아무 파일을 열어서 수정을 합니다. 옵션에서 자동저장 간격을 1분으로 줄이고 해보세요.
그런 다음 1분이 지난 다음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닫습니다.

 

 

그런 다음 아까 수정한 파일을 열어봅니다. 이어서 [파일]-[정보]를 선택합니다. 우측창에 버전관리에 보면 [저장하지 않고 닫을때] 라는 문구가 보이시죠? 이걸 클릭하면 저장안하고 닫은 파일이 열립니다.

 

 

열린 파일 맨위를 보시면 (파일명 뒤에 저장되지 않은 파일)[읽기전용] 이라고 표시되어 있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복구한파일은 확장자가 .xlsb 로 저장됩니다. 복구한 파일을 확인한후 이 파일을 사용할거라면 다시저장하기 하여 통합문서로 저장해 주셔야 합니다.

 


<손상된 엑셀 파일 복구하기>


중요한 파일이 손상되었을때 데이커 추출 기능으로 파일에 있는 데이터만이라도 복구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엑셀 기능중에 하나입니다.

 


우선 [파일]-열기를 클릭합니다.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의 평에 있는 목록 화살표를 클릭한후, [열기 및 복구]를 선택합니다.

 


메시지 창이 뜨면 [복구] 또는 [데이터추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처음 복구할때는 [복구]를 클릭해서 복구하고, [복구]로 문서가 복구가 안될 경우 추가로 [데이터추출]을 클릭하여 데이터만 복구합니다.

[복구]는 최대한 원본과 가까운 상태로 복구하는 기능이며, [데이터추출]은 손상된 파일 데이터를 먼저 복구하는 기능입니다.

 

 

[데이터추출]을 선택하면 위 이미지처럼 메시지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값으로 변환]은 모든 데이터를 값으로 복구하며 [수식복구]는 값은 값으로 수식을 수식으로 복구하는 기능입니다.

 

 

복구 결과 내용을 알려주는 창이 나타나면 [닫기]를 클릭하여 닫아 주면 됩니다.

 

 

복구된 파일이 열리게 되면 맨위에 파일명 뒤에 [복구됨] 표시가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파일]-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해서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하면 됩니다.

오늘 준비된 엑셀배우기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이번주에는 워크시트관련 내용과 틀고정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